본문 바로가기
책 속담 격언 명언 관상 명리

[아난다] 없다, 생각하다 x 2

by marimarimasuk 2023. 12. 23.
반응형

[아난다]는 무념무상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생각하지 않거나 신경 쓰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무념무상'은 영어로 'carefree'로 표현될 수 있으며, [북두신권]에서 다시 보실 수 있습니다.


 

 

"무념무상"은 한자어로, "무(無)"는 "없다"는 뜻이고, "념(念)"은 "생각하다"는 뜻이며, "상(想)"은 "생각하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무념무상"은 "생각이 없고 생각하는 것이 없다"는 뜻으로, 마음이 고요하고 평온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무념무상"의 원어는 산스크리트어의 "아난다(ananda)"입니다. "아난다"는 "행복하다"는 뜻으로, 고통이나 번뇌가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불교에서는 "아난다"를 열반의 상태로 여깁니다.

 

 

"무념무상"은 불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수행의 목표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불교에서는 "무념무상"을 통해 마음의 고통과 번뇌를 없애고,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가르칩니다.

 

 

"무념무상"은 인간에게 가능한 개념일까요? 이에 대한 답은 사람마다 다를 것입니다. 어떤 사람은 "무념무상"을 불가능한 상태로 여길 수도 있고, 어떤 사람은 가능한 상태로 여길 수도 있습니다.

 

 

"무념무상"은 마음의 상태이기 때문에, 인간의 노력에 따라 어느 정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완전한 "무념무상"은 불가능하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왜냐하면 인간은 항상 생각을 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뇌는 항상 정보를 처리하고, 그에 따라 생각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완전한 "무념무상"은 인간의 뇌의 특성상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은 노력을 통해 "무념무상"에 가까운 상태에 이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명상이나 요가 등을 통해 마음을 고요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수행을 통해 마음의 번뇌를 없애고,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념무상"은 인간에게 가능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지만, 완전한 "무념무상"은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북두신권은 일본의 만화가인 테즈카 오사무가 1980년부터 1983년까지 연재한 만화입니다. 이 만화에서 무념무상은 북두신권의 최고 경지로, 마음의 고통과 번뇌를 없애고, 진정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북두신권의 창시자인 켄시로의 아들인 켄은 무념무상의 경지에 도달한 것으로 묘사됩니다. 그는 아무런 생각 없이, 오직 본능에 따라 싸우며, 어떠한 상대도 제압할 수 있는 힘을 갖추게 됩니다.

 

북두신권에서 무념무상은 권법뿐만 아니라, 삶의 태도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무념무상의 경지에 도달한 사람은 세상의 모든 것에 집착하지 않고,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북두신권은 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으며, 무념무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무념무상을 영어로 하면? Without any thought. The act of obtaining a spiritual state of being free from all thoughts and worrie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