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속담 격언 명언 관상 명리

[애이불비] 슬프되 비통하지 않다

by marimarimasuk 2023. 12. 20.
반응형

애이불비는 한자어로 "哀而不悲"입니다. "슬프되 비통하지 않다"는 뜻입니다.

 

슬픈 일이 있어도 절망하거나 비탄하지 않고,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태도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비슷한 속담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喜而不狂" (희이불광) : 기뻐도 미치지 않는다
  • "怒而不暴" (노이불포) : 화를 내도 난폭하지 않다
  • "樂而不淫" (락이불음) : 즐거워도 방탕하지 않다

이러한 속담들은 모두 감정을 절제하고,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태도를 강조하는 것입니다.

 

애이불비는 고대 중국의 사상가인 노자(老子)가 자신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입니다. 노자는 애이불비의 태도를 통해, 세상의 변화에 휩쓸리지 않고, 고요하고 평온한 삶을 추구하고자 했습니다.

 

애이불비는 현대 사회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태도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불안과 스트레스에 시달리기 쉽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애이불비의 태도를 유지한다면, 마음의 평화를 유지하고,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노래시작부터입니다.

 

 

애이불비를 영어로 번역하면 "sad but not tragic" 또는 "mournful but not despairing"이 될 수 있습니다.

 

"sad but not tragic"은 "슬프지만 비극적이지는 않다"는 뜻입니다. 슬픈 일이 있어도 절망하거나 비탄하지 않고,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태도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mournful but not despairing"은 "슬프지만 절망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슬픈 일이 있어도 좌절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는 태도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이외에도 "sad but not sorrowful" 또는 "grieving but not despairing"과 같이 번역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은 애이불비를 영어로 표현한 예문입니다.

  • "Even though he lost his job, he was sad but not tragic." (그는 직장을 잃었지만, 슬프지만 비극적이지는 않았다.)
  • "She was mournful but not despairing after the death of her husband." (그녀는 남편의 죽음 이후 슬펐지만, 절망하지 않았다.)

애이불비는 고대 중국의 사상가인 노자가 자신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입니다. 노자는 애이불비의 태도를 통해, 세상의 변화에 휩쓸리지 않고, 고요하고 평온한 삶을 추구하고자 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