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와 노자는 모두 "좋은 사람이 되려면 먼저 강해져야 한다"는 주장을 한 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장자는 "강함은 약함의 극치이다"라는 말을 하며, 강함을 추구하는 것은 오히려 좋은 사람이 되는 데 방해가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장자의 대표작인 <장자>의 <제물론>에 나오는 다음 구절은 이러한 주장을 잘 보여줍니다.
强者不执,弱者不争。
强者不执,故能执;弱者不争,故能争。
强者不执,故能持;弱者不争,故能赢。
이 구절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강한 사람은 집착하지 않고, 약한 사람은 다투지 않는다.
강한 사람은 집착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집착할 수 있다. 약한 사람은 다투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다툴 수 있다.
강한 사람은 집착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지킬 수 있다. 약한 사람은 다투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이길 수 있다.
장자는 이러한 주장을 통해, 강함은 외적인 힘이 아니라 내적인 힘에서 나온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외적인 힘을 추구하는 것은 오히려 내적인 힘을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외적인 힘을 버리고 내적인 힘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노자도 또한 "좋은 사람이 되려면 먼저 강해져야 한다"는 주장을 한 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노자는 "도(道)는 강하지도 않고 약하지도 않다"라는 말을 하며, 강함과 약함은 모두 상대적인 개념이며, 그것을 추구하는 것은 오히려 도에 어긋난다고 주장했습니다.
노자의 대표작인 <도덕경>의 <제2장>에 나오는 다음 구절은 이러한 주장을 잘 보여줍니다.
天下皆知美之为美,斯恶已。皆知善之为善,斯不善已。
이 구절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세상 사람들이 모두 미(美)를 미로 안다면, 악(惡)이 이미 생겨났다. 세상 사람들이 모두 선(善)을 선으로 안다면, 불선(不善)이 이미 생겨났다.
노자는 이러한 주장을 통해, 모든 것은 상대적인 개념이며, 무엇이 미(美)인지, 무엇이 선(善)인지에 대한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강함과 약함을 추구하는 것은 오히려 도에 어긋나는 일이며,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상대적인 개념에 집착하지 않고, 도에 순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장자와 노자가 말하는 강함은 외적인 힘이 아니라 내적인 힘을 말합니다. 외적인 힘은 힘, 권력, 지위, 재산 등과 같은 물질적인 것을 의미합니다. 내적인 힘은 인내심, 용기, 지혜, 사랑 등과 같은 정신적인 것을 의미합니다.
장자와 노자는 외적인 힘을 추구하는 것은 오히려 내적인 힘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외적인 힘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경쟁하고 다투어야 하며, 이는 결국 내적인 평화와 조화를 깨뜨리게 됩니다. 따라서,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외적인 힘을 버리고 내적인 힘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내적인 힘을 키우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내적인 힘을 키운 사람은 외적인 힘에 굴복하지 않고, 어떤 상황에도 흔들리지 않는 강한 마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외적인 힘으로 굴복당하고 모든 상황이 끝난 후에 아무리 "나는 내적으로 강했다"라고 해봤자 이미 인생에서 그만한 힘과 시간은 소비되었고 돌이킬 수 없는 것이라는 말씀은 맞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내적인 힘을 키우는 것이 의미가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내적인 힘을 키우는 것은 미래를 대비하는 것입니다.
어떤 상황에 처하더라도 흔들리지 않는 강한 마음을 가질 수 있다면, 그 사람은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외적인 힘을 추구하기보다는 내적인 힘을 키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내적인 힘을 키우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제안입니다.
- 인내심을 키우세요. 인내심은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는 힘입니다.
- 용기를 키우세요. 용기는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는 힘입니다.
- 지혜를 키우세요. 지혜는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는 힘입니다.
- 사랑을 키우세요. 사랑은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할 수 있는 힘입니다.
이러한 내적인 힘을 키우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꾸준히 노력한다면 누구나 내적인 힘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속담이나 명언, 격언이 다른 문화권에도 몇 가지 있습니다.
- 일본
- 力こそ正義 (ちからこそ せいぎ)
- 뜻: 힘이야말로 정의이다
- 유대
- The weak shall inherit the earth.
- 뜻: 약자가 땅을 물려받을 것이다.
- 아프리카
- If you want to go fast, go alone. If you want to go far, go together.
- 뜻: 빨리 가려면 혼자 가라.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이러한 속담이나 명언, 격언은 모두 힘과 약함의 관계에 대해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어떤 관점이 옳은지는 각자의 가치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존버'는 '존나 버티다'의 줄임말로, 어떤 어려움이나 고통을 참고 견디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게임이나 주식, 투자 등에서 사용되며, 목표를 이루기 위해 포기하지 않고 계속 노력하는 것을 뜻합니다.
'존버'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목표를 명확히 하는 것입니다. 목표가 명확하다면,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어떤 어려움을 견뎌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목표를 이루었을 때의 보상을 상상하며, 이를 동기부여로 삼을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자신감을 가지는 것입니다. 자신감이 있다면, 어떤 어려움에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노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감을 가지고 행동하면, 목표를 이루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존버'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 몇 가지입니다.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세요. 계획을 세우면, 목표를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계획을 실천하면서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보완할 수 있습니다.
- 실패를 두려워하지 마세요. 실패는 성공의 과정 중 하나입니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다면, 더 많은 도전을 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더 많은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 긍정적인 생각을 하세요. 긍정적인 생각은 어려움을 이겨내고 목표를 이루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긍정적인 생각은 삶의 만족도를 높여줍니다.
'존버'는 쉽지 않은 일이지만, 그만큼 보람도 큰 일입니다. '존버'를 통해 목표를 이루고, 더 나은 삶을 만들어나가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