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건강

[무호흡증] 수면중 또는 생활중, 공황 발작, 공황 장애

by marimarimasuk 2023. 12. 11.
반응형

수면 시간 동안 호흡이 약해지거나 심하면 호흡이 장시간 멎는 현상을 수면 무호흡증, apnea(앱니아)이라고 합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크게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apnea는 그리스어로 "숨이 막히다"를 의미하는 "a-"와 "숨을 쉬다"를 의미하는 "pnoē"의 합성어입니다. 즉, "숨이 막혀 숨을 쉬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apnea는 수면 무호흡증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잠을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불규칙하게 숨을 쉬는 등의 특징을 나타내는 수면 장애의 하나입니다. 숨 쉬는 동안 일시적으로 멈추는 일이 수초에서 수분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정의상으로는 한 시간 안에 적어도 5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고, 낮 동안의 졸음, 집중력 저하, 기억력 감퇴, 우울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심혈관 질환, 뇌졸중, 당뇨병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은 뇌의 호흡 중추에 이상이 생겨 호흡이 약해지거나 멎는 현상입니다.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뇌졸중, 뇌출혈, 뇌종양, 뇌 손상, 뇌전증 등의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목의 근육이 이완되어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혀 호흡이 약해지거나 멎는 현상입니다. 원인은 비만, 코골이, 편도선 비대, 턱관절 장애,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의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고, 낮 동안의 졸음, 집중력 저하, 기억력 감퇴, 우울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심혈관 질환, 뇌졸중, 당뇨병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의 경우 원인 질환의 치료가 우선입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경우 다음과 같은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 양압 치료 : 코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여 기도를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 구강 내 장치 : 턱을 앞으로 밀어 기도를 유지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양압 치료에 비해 효과가 떨어지지만, 양압 치료가 어려운 경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수술 : 기도를 넓히는 수술을 하는 방법입니다. 턱, 코, 편도선 등의 수술이 있습니다.

 

 

굉장히 집중하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숨이 얕아지고 어쩔 때는 호흡을 전혀 하지 않는 현상은 공황 발작의 증상일 수 있습니다. 공황 발작은 갑자기 심한 불안감과 공포감이 밀려오는 질환입니다. 숨이 답답하거나 숨이 막힐 것 같은 느낌, 심장 두근거림, 가슴 통증, 식은땀, 떨림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의 한자어는 공황발작입니다. 공황발작은 갑자기 심한 불안감과 공포감을 느끼며, 호흡곤란, 심장 두근거림, 가슴 통증, 식은땀, 떨림, 현기증, 실신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입니다.

영어로 공황장애는 panic disorder라고 합니다. panic은 "공포"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panicos에서 유래한 단어입니다. disorder는 "질환"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즉, 공황장애는 "공포의 질환"이라는 뜻입니다.

공황장애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스트레스, 약물 부작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의 치료는 약물 치료와 인지 행동 치료가 있습니다. 약물 치료는 항우울제, 항불안제 등이 사용됩니다. 인지 행동 치료는 공황 발작에 대한 잘못된 생각과 행동을 교정하는 치료입니다.

공황장애는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신체가 위협에 처했다고 생각하여 일시적으로 호흡을 억제하는 방어 반응으로 나타납니다. 뇌의 호흡 중추가 흥분하여 호흡을 억제하는 신호를 보내기 때문입니다.

공황 발작의 완화 또는 치료 대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심호흡 : 깊은 심호흡을 통해 호흡을 안정시켜 줍니다.
  • 이완 요법 : 명상, 요가, 스트레칭 등의 이완 요법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불안감을 줄여줍니다.
  • 약물 치료 : 항우울제, 항불안제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공황 발작이 잦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공황 발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규칙적인 생활을 합니다.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을 찾습니다.
  • 술, 담배, 카페인 등의 자극제를 피합니다.

공황 발작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증상이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수면중 무호흡을 완화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운동방법이나 요가 동작이 있습니다.

운동방법

  • 코골이 방지 운동

코골이 방지 운동은 목 근육을 강화하여 기도를 넓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음과 같은 운동을 해볼 수 있습니다.

* **혀뿌리 운동**
    1. 입을 벌리고 혀를 위로 올려 목젖을 누릅니다.
    2. 10초 동안 유지합니다.
    3. 10회 반복합니다.
* **턱 당기기 운동**
    1. 입을 벌리고 턱을 앞으로 당깁니다.
    2. 10초 동안 유지합니다.
    3. 10회 반복합니다.
 
 
 
 
* **혀 굴리기 운동**
    1. 혀를 오른쪽으로 굴립니다.
    2. 10초 동안 유지합니다.
    3. 왼쪽으로 10초 동안 유지합니다.
    4. 10회 반복합니다.
 
 
 
 
 
  • 유산소 운동

유산소 운동은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됩니다. 체중 감량은 수면중 무호흡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음과 같은 유산소 운동을 해볼 수 있습니다.

* 달리기
* 수영
* 자전거 타기
* 에어로빅

요가 동작

요가 동작은 호흡과 근육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음과 같은 요가 동작을 해볼 수 있습니다.

  • 코브라 자세

코브라 자세는 어깨와 가슴을 열어 호흡을 깊게 하기 쉽게 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코브라 자세를 취할 수 있습니다.

1. 배를 바닥에 대고 누워 무릎을 구부려 발바닥을 바닥에 댑니다.
2. 손을 어깨 너비로 벌려 바닥에 대고 팔꿈치를 구부립니다.
3. 호흡을 들이마시면서 상체를 들어 올립니다.
4. 목을 길게 뻗고 시선은 앞을 향합니다.
5. 5~10초 동안 자세를 유지합니다.
6. 천천히 호흡을 내쉬면서 상체를 내려갑니다.
  • 어깨 뒤로 넘기기 자세

어깨 뒤로 넘기기 자세는 어깨와 목의 근육을 이완시켜 호흡을 돕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어깨 뒤로 넘기기 자세를 취할 수 있습니다.

1. 바닥에 누워 양쪽 팔을 머리 위로 뻗습니다.
2. 호흡을 들이마시면서 상체를 들어 올립니다.
3. 양손으로 발목을 잡습니다.
4. 5~10초 동안 자세를 유지합니다.
5. 천천히 호흡을 내쉬면서 상체를 내려갑니다.
  • 어깨 뒤로 젖히기 자세

어깨 뒤로 젖히기 자세는 어깨와 목의 근육을 이완시켜 호흡을 돕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어깨 뒤로 젖히기 자세를 취할 수 있습니다.

1. 바닥에 앉아 다리를 앞으로 뻗습니다.
2. 양손을 머리 위로 뻗습니다.
3. 호흡을 들이마시면서 상체를 뒤로 젖힙니다.
4. 5~10초 동안 자세를 유지합니다.
5. 천천히 호흡을 내쉬면서 상체를 앞으로 숙입니다.
 
 
 

수면중 무호흡은 심각한 질환이 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이나 요가 동작은 수면중 무호흡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치료가 되지는 않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