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 이슈 사회 기사거리

[후티반군] 수에즈 운하 우회로 "희망봉"

by marimarimasuk 2024. 1. 20.
반응형

시간적 비용

 

이집트 운하를 통과하는 경우, 싱가포르에서 유럽까지의 거리는 약 1만 2000km입니다. 운항 시간은 약 2주 정도 소요됩니다. 반면, 희망봉을 돌아가는 경우, 싱가포르에서 유럽까지의 거리는 약 2만 3000km입니다. 운항 시간은 약 3주 정도 소요됩니다. 따라서, 이집트 운하를 통과하는 경우 희망봉을 돌아가는 경우보다 약 1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유럽까지의 경로

 

 

 

 

경제적 비용

이집트 운하를 통과하는 경우, 운하 통행료는 약 3만 달러입니다. 반면, 희망봉을 돌아가는 경우, 운하 통행료는 없지만, 항해 거리가 더 길기 때문에 연료비가 더 많이 소요됩니다. 연료비는 선박의 크기, 속도, 운항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10,000TEU 급의 배의 경우, 싱가포르에서 유럽까지의 운항 거리가 약 1000km 늘어나면 연료비는 약 1만 달러 정도 증가합니다. 따라서, 희망봉을 돌아가는 경우 이집트 운하를 통과하는 경우보다 연료비가 약 1만 달러 정도 더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선박의 용선비용

선박의 용선비용은 선박의 크기, 성능, 운항 기간, 운항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10,000TEU 급의 선박의 경우, 단기간(1~3개월) 용선의 경우 하루 평균 약 10만 달러 정도의 용선비용이 발생합니다. 장기간(1년 이상) 용선의 경우 하루 평균 약 5만 달러 정도의 용선비용이 발생합니다.

 

 

 

결론

후티반군 사태로 인해 이집트 운하를 통과할 수 없는 경우, 10,000TEU 급의 선박을 희망봉을 돌아서 유럽으로 운송하는 경우, 시간적 비용은 약 1주 정도 증가하고, 경제적 비용은 약 2만 달러 정도 증가합니다. 또한, 선박의 용선비용도 하루 평균 약 5만 달러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후티반군 사태로 인한 운송 비용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이집트 운하의 통행이 재개될 수 있도록 후티반군 사태의 해결을 위한 노력을 기울입니다.
  • 희망봉을 돌아가는 경로의 운항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선박의 운항 속도를 높이거나, 최적의 운항 경로를 설계합니다.
  • 연료 효율이 높은 선박을 이용합니다.
  • 용선 기간을 단축하여 용선비용을 절감합니다.

 

 

후티반군은 어떤 세력일까요?

후티반군은 예멘의 수도 사나를 장악하고 있는 시아파 무장 세력입니다. 후티반군은 2015년부터 예멘 정부와 내전을 벌이고 있으며, 2018년부터는 홍해에서 드론과 미사일 공격을 감행하며 국제 사회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후티반군이 이러한 공격을 벌이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후티반군은 예멘 정부를 무너뜨리고 시아파 정권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둘째, 후티반군은 이란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이란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국제 사회에 긴장감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후티반군 사태가 언제쯤 수습될지는 아직 불확실합니다. 후티반군은 시아파 무장 세력으로서 강력한 결집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란의 지원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후티반군을 무력으로 제압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후티 반군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시아파 계파인 자이디파의 신봉자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이란의 지원을 받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 예멘 내전의 주요 세력 중 하나입니다.

 

 

 

후티반군, Houthis 사태의 미래 예측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시나리오가 가능합니다.

첫째, 후티반군과 예멘 정부 사이의 협상을 통해 평화적인 해결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후티반군은 예멘 정부의 통합 정부에 참여하거나, 예멘 내의 특정 지역에서 자치권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둘째, 후티반군과 예멘 정부 사이의 내전이 장기화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후티반군의 공격으로 인해 홍해의 항행 질서가 심각하게 교란될 수 있으며, 중동 지역의 불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후티반군 사태의 향방은 후티반군과 예멘 정부의 협상 노력과 국제 사회의 중재 노력에 달려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