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자란 제비는 주로 날벌레를 잡아먹습니다. 날벌레 중에서도 모기, 파리, 하루살이, 나방, 벌 등이 제비의 주요 먹이입니다. 이 중에서 모기는 제비의 주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비는 하루 평균 14시간 동안 약 350회 먹이를 줍니다. 새끼가 있는 시기에는 이보다 더 많은 먹이를 줍니다.
국립산림과학원 조사에 따르면, 제비 새끼 한 마리가 하루에 평균 5만2500마리의 먹이를 먹으며, 이 중 해충 비율을 15%로 가정하면 새끼 한 마리가 연간 7900여 마리의 해충을 먹는 셈입니다. 어미 제비가 활동하면서 먹는 해충까지 포함하면 실제 해충방제 효과는 더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비는 철새입니다. 겨울에는 따뜻한 아프리카나 남아시아로 이동하고, 봄이 되면 다시 북반구로 돌아옵니다. 제비는 약 1만 킬로미터에 달하는 거리를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제비는 해충을 잡아먹는 데 매우 효과적인 새입니다. 제비가 한 해 동안 잡아먹는 해충은 약 10억 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인류가 사용하는 농약의 양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따라서 제비는 농업 생산성 향상과 식량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새라고 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JPMg/btsDkQLC1XA/tKhLlFTRTs9utJvqNVJmdK/img.gif)
제비는 철새 이동할 때 하루에 약 500~600km의 거리를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평균적인 수치이고, 개체나 날씨 조건에 따라 이동 거리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바람의 도움을 받으면 더 멀리 이동할 수 있고, 날씨가 좋지 않으면 이동 거리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제비는 일반적으로 밤에 이동합니다. 이는 날벌레가 활동하는 낮에는 먹이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제비는 밤에 시야가 좋지 않기 때문에, 별자리나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이동합니다.
제비는 매년 약 1만~2만km의 거리를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지구 둘레의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거리입니다.
1.아프리카 속담
* "제비는 강남에서 왔어." (The swallow has come from the south.)
이 속담은 봄이 오면 제비가 돌아오는 것을 보고, 날씨가 따뜻해지고 농사가 잘 될 것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 "제비는 날개가 없으면 죽는다." (The swallow will die if it has no wings.)
이 속담은 제비가 날개가 없으면 살아갈 수 없듯이, 사람이 능력이 없으면 성공할 수 없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2. 중국 속담
* "제비는 귀신을 쫓는다."** (The swallow drives away ghosts.)
이 속담은 제비가 귀신을 쫓아내는 능력이 있다고 믿는 중국의 전통적인 속담입니다.
* "제비는 은혜를 갚는다."** (The swallow repays its kindness.)
이 속담은 제비가 은혜를 갚는 동물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속담입니다.
3. 한국 속담
* "제비는 작아도 강남 간다."**
이 속담은 제비가 작아도 강남까지 날아가는 것처럼, 작고 볼품없어도 제 할 일을 다 한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 "제비는 은혜를 갚는다."**
이 속담은 중국 속담과 같은 뜻으로 사용됩니다.
* "제비는 낯짝이 있고 빈대도 콧잔등이 있는 법."**
이 속담은 사람이 무슨 일을 하든 체면이 있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이외에도 제비와 관련된 속담은 많이 있습니다. 제비는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친숙한 새이기 때문에, 다양한 속담이 전해 내려오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