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속담 격언 명언 관상 명리

[반진실] half-truth

by marimarimasuk 2023. 12. 24.
반응형

 

영어로는 "half-truth", 한국어로는 "반진실", 일본어로는 "半真実" (hanshinjitsu) 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half-truth는 "절반의 진실"이라는 뜻으로, 사실이지만 결정적 단서가 될 만한 사실을 숨기거나 왜곡한 진실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범죄를 저지르지 않았다"는 말은 사실이지만, "나는 범죄를 계획했다"는 사실을 숨긴 반진실입니다.

 

반진실half-truth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半真実half-truth의 일본어 번역으로, "절반의 진실"이라는 뜻입니다.

이러한 표현들은 모두 사실을 말하지만, 결정적 단서가 될 만한 사실을 숨기거나 왜곡함으로써 진실을 왜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진실은 한국 법률에서도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형법 제153조 제1항은 "허위사실을 유포하여 사람의 명예를 훼손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조항에서 말하는 "허위사실"에는 반진실도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A가 B를 비방하기 위해 "B는 공금을 횡령했다"고 말하는 것은 반진실입니다. 이 경우, A는 형법 제153조 제1항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반진실은 사실과 거짓의 경계에 있기 때문에, 이를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상대방의 말을 들을 때는 전체적인 진실을 파악하기 위해 주의해야 합니다.

 

 

반진실을 표현한 예문을 몇 가지 알려드리겠습니다.

  • 정치인 A가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저는 항상 국민을 위해 일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말은 사실이지만, 정치인 A가 어떤 일을 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빠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말은 "정치인 A는 국민을 위해 일했다고 주장했다"고 해석될 수 있습니다.

 

 

  • 회사 B가 광고에서 "저희 제품은 최고 품질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말은 사실이지만, "최고 품질"의 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은 빠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말은 "회사 B는 자사 제품의 품질이 우수하다고 주장했다"고 해석될 수 있습니다.

 

 

  • 남편이 아내에게 "너는 항상 예쁘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말은 사실이지만, "항상"이라는 단어가 상대적으로 주관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이 말은 "남편은 아내가 예쁘다고 생각한다"고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예문에서 알 수 있듯이, 반진실은 사실의 일부만을 말하여 전체적인 진실을 왜곡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상대방의 말을 들을 때는 전체적인 진실을 파악하기 위해 주의해야 합니다.

 

 

 

 

반응형